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심리사회성 이론
    심리학 2023. 11. 29. 00:11
    반응형

     

    문화와 환경은 인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인간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대표적 이론으로 에릭슨의 심리사회성 이론을 들 수 있습니다. 원래 에릭슨의 이론은 개인의 신체적 · 생리적 발달에 근거한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 이론을 수정 · 발전시킨 것입니다. 정신분석학적 입장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으나, 유아기부터의 발달에서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대인관계, 사회적 접촉 등 사회적 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심리사회성 이론은 전 생애를 구강기에서 노년기까지 8단계로 나누는 평생 발달에 관한 이론입니다. 각 단계마다 개인은 위기를 맞이하며 대개는 긍정적 방향으로 발달 · 적응해 가지만, 이와 반대로 부적응과 부정적 방향으로 발달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1) 기본적 신뢰감-불신감 (출생 후~만 1세)

    이 시기에 유아는 무능력한 존재로서 부모의 보살핌에 전적으로 의존합니다. 따라서 환경으로부터 모든 것을 끌어들이며, 어른들 특히 어머니의 보살핌 정도에 따라 안정감과 편안감을 느끼게 되고, 부모에 대한 신뢰감이 형성됩니다. 만일 이 시기에 신뢰감이 형성되지 못하면 그 반대인 불신감이 쌓이게 됩니다. 유아기의 이러한 경험은 성장한 후의 성격 형성에 그대로 영향을 주어 사회생활의 대인관계에 있어서 기본적 신뢰감 혹은 불신감을 가지게 됩니다.

     

    (2) 자율성-회의감 (만 1~3세)

    이 시기에는 신체운동 측면의 발달이 급속히 이루어져 물건을 잡아 보고, 던져 보고, 또 걸상 위에 올라가 떨어뜨려 보기도 합니다. 즉 무엇이든 자율적으로 해 보려는 행동 경향이 나타나고, 자신의 새로운 능력에 대해서 자신감이 생겨납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율적인 시도와 노력을 부모가 말리거나 과잉보호하며 대신해 주면 결국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회의감이 생겨나게 됩니다.

     

    (3) 주도성-죄의식 (만 3~5세)

    유아원 혹은 유치원에 다닐 정도의 연령인 이 시기에는 가정의 울타리를 벗어나 이웃에도 돌아다니며 대인관계를 맺습니다. 또한 또래 아이들과의 놀이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언어 능력도 많이 향상되며, 위험한 장난, 환상적인 놀이, 대답해 주기 어려운 질문을 하기도 합니다. 이 시기의 특징은 환경에 대한 침투입니다. 따라서 사실상 일을 많이 저지르고 어른들을 귀찮게 만드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때 아이의 행동이 나쁘고 성가시다고 물리치거나 심하게 나무라는 경우, 아이는 자기가 주도권을 가지고 스스로 시작한 일에 대해 죄의식과 수치심을 느끼게 됩니다. 

     

    (4) 근면성-열등감 (만 6~11세)

    가정의 테두리를 벗어나 초등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정해진 규칙의 준수와 더불어 열심히 일하는 것을 배웁니다. 또 탐험가와 같이 새로운 것을 찾고 만들며, 열심히 공부했을 때 얻은 좋은 성적과 게으름을 피웠을 때 얻은 나쁜 성적을 비교해 봄으로써 근면성의 결과를 파악하게 됩니다. 또한 자신의 근면성의 결과로 나타난 업적에 대하여 타인으로부터 격려와 칭찬을 받게 되는데, 아동은 이를 통하여 성취감을 맛보게 됩니다. 그러나 학교생활을 통해서 타인과 비교를 하게 되고, 자기의 능력이나 성취에서 미흡한 점을 깨닫고 열등감에 빠지게 되기도 합니다.

     

    (5) 자아정체감-역할 혼란 (청소년기)

    청소년기는 발달 단계로서 청년기의 문턱에 해당합니다. 이때 청소년들은 수염이 나거나 목소리가 변하는 등 이차 성정이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를 겪으면서 사춘기에 도달하고, 또 자신이 누구인가 하는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게 됩니다. 자아정체감이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이 수행한 역할의 통합체로서 맏아들, 손자, 학생, 오빠, 동생, 친구 등 수많은 역할이 한 사람에게 통합되어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하여 자기의 주체를 파악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아정체감을 쉽게 형성하지 못하고 이를 1~2년 동안 유예시키고 방황하거나 정지된 상태로 지내는 청소년도 있는데, 이때를 결정 유예 시기라고 합니다. 

    자아정체감의 형성과는 반대로 사회적 환경, 가정교육, 학교 교육의 방향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거나, 여러 가지 역할에 대한 일관성 있는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역할 혼란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에는 부모나 사회가 바라는 착실한 자식, 선량한 학생 또는 정직하게 살아가는 청소년이 되기보다는 자기 눈앞에 나타난 쾌락이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경우가 생겨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청소년 비행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납니다.

     

    (6) 친밀감-고립감 (성인초기)

    일단 자아정체감이 형성된 청소년은 성인 초기에 와서 자신의 경계선을 넘어서서 타인과 깊은 관계를 맺게 됩니다. 친구관계, 부부관계, 전우애 등이 그것인데, 이는 친밀감의 소산입니다. 이러한 친밀감은 여러 가지 문제를 자기중심적 관점보다는 타인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며 감정이입의 능력이 형성되어 있을 때 가능한 것입니다. 이러한 친밀감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친구, 애인, 배우자 등을 얻기 어려워 고립된 채로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7) 생성감-침체감 (성인중기)

    단순히 자신과 자기 세대의 행복과 이익에만 관심을 쏟는 것이 아니라, 자손들의 세대 및 미래를 위해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헌신하는 기간입니다. 흔히 장년기 혹은 노년기의 성인들은 근검절약과 저축, 문화적 유물의 전수, 보존 등을 위해 노력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생성감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자기 당대가 아니라 자손의 출산, 양육, 가계 계승 등에 관심을 쏟는 데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사회적 발달을 이루지 못한 사람들은 자녀들의 교육, 복지 등의 미래에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은 채 오로지 자기 자신의 이익과 편안, 자기 당대의 쾌락만을 추구하며 침체감에 빠지게 됩니다.

     

    (8) 자아통합감-절망감 (성인후기)

    인생을 마무리하는 단계에서의 자아통합감이란, 지나간 일생에 대해 그런대로 만족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달성하지 못한 일보다 달성한 일과 행운에 대해 감사한 자세를 가질 때 생깁니다. 이에 반해 자신의 인생이 무의미하게 흘러갔으며, 이제 황혼기에 접어들어 다시 시작하기에는 때가 너무 늦었다고 탄식하게 될 때 절망감이 생깁니다. 이런 경우네는 흔히 지나온 인생에 대한 불만이 쌓여 모든 것을 불운했다고 여기며 우울증에 빠져 자신 혹은 타인을 원망하면서 괴로운 노년기를 보내게 됩니다.

     

    지금까지 기술한 에릭슨의 체계는 전 생애에 걸친 개인의 사회성 발달을 기술하기에 매우 유용합니다. 그가 언급한 바와 같이 아동기 동안 기본적인 생존은 주변을 둘러싼 다른 사람들과의 의미 있고 효과적인 관계에 달려 있습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밖의 다양한 심리적 장애  (2) 2023.12.03
    성격과 관련된 심리적 장애  (0) 2023.12.02
    심리적 동기의 작용  (0) 2023.11.24
    심리적 장애 (2)  (0) 2023.11.22
    심리적 장애 (1)  (0) 2023.11.20
Designed by Tistory.